조선의지리인식
-
대항해 시대와 조선의 지도 - 김정호의 대동여지도는 왜 독특한가?세계사 속의 한국사 2025. 5. 26. 21:58
대항해 시대, 세계 지도의 패러다임을 바꾸다대항해 시대는 인류의 공간 인식과 세계 지도의 제작 방식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15세기 후반부터 유럽 열강들은 신항로 개척을 통해 아프리카, 아시아, 아메리카 대륙에 이르기까지 항로를 넓혀갔으며, 이와 함께 세계사의 중심은 바다로 이동하게 되었습니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의 항해 지도는 해류와 위도, 항만 정보를 중심으로 구성되었고, 16세기 초 메르카토르 투영법은 항해용 지도의 기준이 되었습니다. 당시 지도는 정확한 위치와 측량을 통한 세계 통합을 추구하는 과학적 도구로 발전해갔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는 동아시아 전체에 동일하게 적용되지 않았습니다. 조선은 상대적으로 폐쇄적인 왕조였으며, 외세와의 교류도 제한적이었습니다. 그러나 외부와의 거리를 둔 채..
-
조선 후기 실학과 세계 지리 인식의 변화: 동아시아 변방에서 지구적 시야로 나간 조선 지식인들세계사 속의 한국사 2025. 5. 9. 08:53
조선 후기, 새로운 세상을 향한 작은 균열18세기에서 19세기 초까지 이어진 조선 후기, 내부적으로는 세도 정치와 농민 피폐, 외적으로는 서구 열강의 압박이 점차 거세지며 시대는 격동으로 치달았습니다. 그러나 이 와중에도 조선 사회에는 새로운 사유와 인식의 싹이 움트기 시작했으니 바로 실학(實學)의 등장입니다. 실학은 단지 유학 내부의 사상 분파가 아니라, 현실을 직시하고 유용한 지식을 추구하자는 운동이었습니다. 이는 곧 유교적 가치관에 근거한 세계 인식, 즉 조선 중심, 중화 중심의 질서가 변화의 요구에 직면했다는 신호이기도 했습니다. 실학자들은 경제, 사회, 농업 개혁뿐 아니라, 지리, 역사, 외교, 과학 분야에서도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면서 조선 지식 세계의 경계를 넓혀 나갔습니다. 혼일강리역대국도지..